팬데믹 이후 기업들, 반년에 한 번씩 가격 올렸다

시티타임스 CityTimes

입력: 2024년 03월 12일 02:15

팬데믹 이후 기업들, 반년에 한 번씩 가격 올렸다

CityTimes - 서울 중구 명동거리 음식점 홍보물의 모습. [사진=뉴스1]

[시티타임스=한국일반] 코로나19 이후 기업의 가격 조정 빈도가 잦아지고, 상품 가격을 유지하는 기간이 짧게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1일 펴낸 BOK이슈노트 보고서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의 특징과 영향'에는 한은 조사국 물가동향팀 소속 이동재 과장과 임서하 조사역의 이 같은 연구 결과가 실렸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제품의 가격 조정 빈도(인상·인하 모두 포함, 일시적 할인 등은 제외)는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8~2021년 월평균 11.0% 수준이었으나 2022~2023년에는 15.6%로 크게 올랐다. 이는 평균 상품 가격 유지 기간이 9.1개월에서 6.4개월로 단축됐다는 의미라고 연구진은 밝혔다.

연구진은 한국소비자원이 한 달에 두 차례 제공하는 생필품가격 정보를 활용해 기업이 한 달 동안 가격을 모두 인상하지 않을 확률을 1에서 차감함으로써 가격 조정 빈도를 계산했다.

소비자원 가격 정보는 대형마트, 백화점 등 500여개 유통업체에서 판매하는 가공식품, 생활용품 등의 실제 가격 데이터를 담고 있다.

보고서는 가격 조정 빈도의 증가는 대부분 인상 빈도가 늘어난 데 기인했고, 인하 빈도는 코로나19 전후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면서 2022년 하반기 이후에는 인상 빈도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과거 대비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 "가격 인상 빈도는 소비자물가와 양의 상관성을 보이는 반면 인하 빈도는 소비자물가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수준에서 유지되는 경향"이라고 부연했다.

실제 연구진이 분석한 결과, 물가 상승률이 1%포인트(p) 상승하면 개별 품목의 가격 인상 빈도는 약 1%p 증가하는 경향이 드러났다.

이와 관련해 보고서는 "고물가 시기 기업이 소비자 저항 등을 고려해 가격 인상 '폭'보다 '빈도'를 조정하면서 물가와 인상 빈도 간 상관성이 높은 것"이라고 추정했다.

반면 코로나19 이후 기업들의 가격 조정 폭(인상·인하율)은 거의 변함 없었다. 보고서는 "생필품 가격 변동의 대부분이 조정 빈도의 변동으로 설명됐다"고 밝혔다.

기업의 빈번한 가격 조정은 유가 상승 등의 '비용 충격'이 발생한 상태에서 더 큰 파문으로 이어졌다. 시뮬레이션 결과, 유가 등 비용 충격이 커질수록 기업의 가격 조정 빈도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큰 폭(비선형적)으로 늘었다.

앱 다운받기
수백만 명이 사용하는 앱에 합류해 글로벌시장의 최신 소식을 받아보세요.
지금 다운로드합니다

보고서는 "유가 같은 비용 상승 충격의 크기가 두 배로 커질 경우 충격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두 배 이상"이라고 지적했다. 또 "물가 상승률이 4~5%대로 높은 시기에는 같은 비용 상승 충격에도 인상 빈도가 늘어나면서 충격이 물가로 빠르게 전이됐다"고 분석했다.

이에 연구진은 물가 안정기 진입에 앞서 기업의 가격 조정 행태가 과거로 돌아가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시티타임스에서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