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 윈터 끝나가지만 복잡한 거래소들의 속내

MoneyS

입력: 2024년 03월 27일 15:40

크립토 윈터 끝나가지만 복잡한 거래소들의 속내

▶글 쓰는 순서

①비트코인 불장에 기대감 커지는 코인거래소

②크립토 윈터 끝나가지만 복잡한 거래소들의 속내

③코인 불장에도 울상인 코빗과 고팍스

침체기에 빠졌던 가상자산 시장에 훈풍이 불고 있다. 국내 원화 거래소에서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 가격이 신고를 경신하고 거래량이 급증했다. 특정 거래소 쏠림 현상은 여전해 소형 거래소들의 실적개선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거침없는 비트코인… '1억원'도 돌파

가상자산 시장에선 약 2년간 지속됐던 크립토윈터(가상자산 침체기)가 끝나간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비트코인은 올해 달러화 기준 4만4000달러 선에서 거래가 시작된 이후 이달 중반엔 7만 달러를 돌파하며 70% 넘게 급등했다. 한국시장에서는 1억원을 넘기도 했다. 이더리움도 2000달러 선에서 두 달 만에 4000달러를 오르내리고 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현물 ETF를 승인한 것이 상승세에 주효했단 분석이다. SEC가 올해 초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및 거래를 승인하면서 지난 1월11일 미국 증시에는 11개의 비트코인 ETF가 상장됐다. 비트코인 ETF는 상장 첫날에만 46억 달러(약 6조원) 넘게 거래됐다.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이후 시장은 이더리움 기반 현물 ETF 승인도 주목하고 있다. 블랙록, 아크 인베스트먼트, 그레이스케일 등 7개의 운용사가 이더리움 현물 ETF를 신청했다.

오는 4월로 예정된 비트코인 반감기에 대한 기대감도 호재로 꼽힌다. 비트코인 반감기는 대략 4년에 한 번씩 채굴의 보상으로 얻게 되는 비트코인 신규 공급량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현상을 말한다. 공급량이 줄어들 때 수요가 지속되면 가격이 오르고 시장 가치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지난 1~3차 반감기 때도 비트코인 가격은 급등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1차 반감기(2012년 11월)부터 다음 반감기(2016년 7월)까지 약 92배 올랐다. 2차 반감기 때는 30배, 3차 반감기(2020년 5월)에도 8배 올랐다.

에드 힌디 타이르캐피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비트코인은 오는 4월 반감기 이벤트를 앞두고 더 높은 가격에 거래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미국 현물 비트코인 ETF 흐름이 강세를 이어간다면 2024년에 비트코인이 10만 달러를 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지 않다"고 했다.

앱 다운받기
수백만 명이 사용하는 앱에 합류해 글로벌시장의 최신 소식을 받아보세요.
지금 다운로드합니다

가상자산의 제도권 편입도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오는 7월19일부터 가상자산이용자 보호법이 시행된다. 가상자산사업자를 대상으로 신고, 검사 조치를 강화하는 것이 골자다. 투자자 보호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코인 광풍'에도 거래소 '부익부 빈익빈'

가상자산 시장 활성화 시기에 국내 5대 거래소(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의 셈법은 다르다. 일부 거래소가 과점을 형성하고 있어 수익성이 극명히 나눠 질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가상자산 거래소 수익의 90% 이상은 수수료가 차지한다. 크립토윈터를 지나는 동안 거래량이 크게 줄어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는 수익을 내기 어려웠다.

이용자 유치를 위해 무료 수수료를 제공했던 거래소들은 최근 이를 철회하고 있다.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실시하지 않았던 업비트와 코인원을 제외하고 빗썸과 코빗은 각각 지난달과 이달 이벤트를 종료했다. 지난해 10월부터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USD코인 거래에 대해 수수료를 받지 않던 고팍스만 무료 수수료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가상자산 거래 통계 플랫폼 코인게코에 따르면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서 업비트 시장 점유율은 80%를 넘는다. 수수료 무료 정책을 시행하면서 올해 초 점유율이 30%를 넘었던 빗썸은 16%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코인원이 1%대, 코빗과 고팍스는 1%에도 미치지 못한다.

업계 관계자는 "일부 거래소로 투자자들이 집중되면서 가상자산 불장에도 업체 간 수익성 양극화는 심해질 수 있다"며 "법인 계좌를 통한 거래를 허용하는 등 안정적이고 고른 가상자산 시장 성장을 위한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머니S에서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