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열기 7월 첫 거래일, 증시는 조마조마함 속에서도 열기가 이어지고 있다.

 | 2023년 07월 03일 15:58

7월 첫 거래일 불볕더위가 대단합니다. 서울 한낮 기온이 35도에 이를 정도로 7월이 되었음을 뜨겁게 알리고 있습니다. 그런 열기 속에 주식시장도 강하게 뜨겁게 반등하면서 장중 코스피는 1.5% 넘게 상승하고 있고, 코스닥 지수는 2% 넘게 상승하여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참 신기하지요. 주식시장 외줄을 타듯 조마조마한데도 등락을 거듭하며 앞으로 나가고 있으니 말입니다.

윈도우 드레싱 연장이라고 하기에는 7월 첫 거래일 제법 강하다.

6월 마지막 거래일 한국 증시뿐만 아니라 전 세계 증시가 훈훈하게 마감되었습니다. 미국 증시에 경우 때마침 나온 PCE 물가 지표의 안정 그리고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 예상치 상회 소식이 불을 지폈다고 하지만 한편 윈도우 드레싱처럼 상승세가 억지스러웠던 모습이 살짝 있었습니다.
6월 마지막 거래일 한국 증시도 기관 수급이 억지로 끌어올린 듯한 윈도우 드레싱과 같은 상승을 만들면서 상반기를 마쳤지요.

앱 다운받기
수백만 명이 사용하는 앱에 합류해 글로벌시장의 최신 소식을 받아보세요.
지금 다운로드합니다

보통 억지로 윈도우 드레싱이 진행되었을 경우 다음 거래일에는 다시 증시가 제자리로 돌아가면서, 반락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오늘 증시는 전혀 그런 흐름이 나타나지 않고 반도체나 이차전지 관련한 대표종목들을 중심으로 강한 지수 상승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즉, 정확히 위치를 가늠하기 어렵지만 증시 온기가 꾸준히 이어지면서 시장에 모멘텀을 만들고 있습니다.

조마조마함이 오히려 역설적으로 증시 에너지원이 되는 것은 아닐까?

투자의 대가 존 템플턴 경은, 생전에 이런 투자 명언을 남겼습니다.
“강세장은 비관 속에 태어나, 회의 속에 자라며….”

요즘 투자자들이 느끼는 심리는 어쩌면 비관과 회의감일 것입니다.
생각 해 보면 주말 사이 새마을금고 이슈와 같은 국내 수급에 부정적인 이슈가 발생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최근 불안한 이슈들이 자주 등장하고 있다 보니 경제나 증시에 대한 비관론과 회의감은 연이어지는 것이 현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