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는 무엇을 보고 있을까? 사라지는 기저효과? 경제 부흥?

 | 2021년 06월 11일 14:06

어제 밤사이 발표된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전년 비 5%를 기록하였습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현실 지표로 발표되었지만 되려 미국 장기 금리는 하락하고, S&P500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습니다.

며칠 전만 하더라도, 테이퍼링과 금리 인상 우려가 증시에 은근히 깔려있었던 것과는 다른 분위기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극단적인 방향성을 가진 것도 아닌 현재 흐름 속에서 저는 이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 증시가 가능성을 모두 열어두고 있는 것은 아닐까?

▶ 6월부터 본격화될 기저효과 감소 :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고.

미국의 5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 5%는 시장 기대치 4.7%를 뛰어넘는 높은 수준의 결과였습니다. 이로 인해 양적 완화 축소, 조기 금리 인상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우려감이 있었지만 정작 미국의 장기 금리는 되레 하락하였지요. 고용지표가 기대 이하였다는 이유였지만 높은 5월 물가를 생각하면 약간은 의아할 수 있습니다.

앱 다운받기
수백만 명이 사용하는 앱에 합류해 글로벌시장의 최신 소식을 받아보세요.
지금 다운로드합니다

그런데 이 부분은 6월부터 본격화되는 기저효과 소멸에서 이유를 찾아볼 수도 있겠습니다.

작년 3월 코로나 쇼크 이후 4월과 5월 사이 모든 경제 지표가 최악의 상황에 빠지고 말았습니다. 그 이후 1년 경제는 빠른 속도로 회복했고 그 결과 물가 지표 등 대부분의 경제 지표들은 전년 동기비 괄목할만한 YoY 성장률을 지난봄 3~5월 사이에 보여주었습니다.

물가 지표도 생각 해 보면 작년 4월에 WTI 원유 선물이 마이너스 가격까지 밀려 내려갔었는데 현재 배럴당 70$에 육박하는 상황만 보더라도 기저효과는 엄청나지 않을 수 없는 필연적인 과정이었습니다. 하지만, 그 기저효과가 6월부터는 서서히 사라져갈 가능성이 큽니다.

물가 지표든 그 외 경제 지표든 모든 영역에서 말입니다.

그런데 이에 대한 해석은 서로 부정/긍정론이 엇갈리게 됩니다.

물가 지표가 기저효과가 감소하면서 안정세로 접어든다면, 미국 연준의 테이퍼링이나 기준금리 조기 인상 가능성이 점점 낮아지면서 글로벌 증시는 호재로 인식하겠지요.

반면, GDP 및 여타 경제 지표들이 기저효과가 사라져간다면, 지난 3~5월 사이에 나타난 성장률에 비해 낮아진 수치에 시장은 부정적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